1. 문제

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67256

 

코딩테스트 연습 - 키패드 누르기

[1, 3, 4, 5, 8, 2, 1, 4, 5, 9, 5] "right" "LRLLLRLLRRL" [7, 0, 8, 2, 8, 3, 1, 5, 7, 6, 2] "left" "LRLLRRLLLRR" [1, 2, 3, 4, 5, 6, 7, 8, 9, 0] "right" "LLRLLRLLRL"

programmers.co.kr

문제 설명

이 전화 키패드에서 왼손과 오른손의 엄지손가락만을 이용해서 숫자만을 입력하려고 합니다.
맨 처음 왼손 엄지손가락은 * 키패드에 오른손 엄지손가락은 # 키패드 위치에서 시작하며, 엄지손가락을 사용하는 규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엄지손가락은 상하좌우 4가지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으며 키패드 이동 한 칸은 거리로 1에 해당합니다.
  2. 왼쪽 열의 3개의 숫자 1, 4, 7을 입력할 때는 왼손 엄지손가락을 사용합니다.
  3. 오른쪽 열의 3개의 숫자 3, 6, 9를 입력할 때는 오른손 엄지손가락을 사용합니다.
  4. 가운데 열의 4개의 숫자 2, 5, 8, 0을 입력할 때는 두 엄지손가락의 현재 키패드의 위치에서 더 가까운 엄지손가락을 사용합니다.
    4-1. 만약 두 엄지손가락의 거리가 같다면, 오른손잡이는 오른손 엄지손가락, 왼손잡이는 왼손 엄지손가락을 사용합니다.

순서대로 누를 번호가 담긴 배열 numbers, 왼손잡이인지 오른손잡이인 지를 나타내는 문자열 hand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각 번호를 누른 엄지손가락이 왼손인 지 오른손인 지를 나타내는 연속된 문자열 형태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 사항

  • numbers 배열의 크기는 1 이상 1,000 이하입니다.
  • numbers 배열 원소의 값은 0 이상 9 이하인 정수입니다.
  • hand는 left 또는 right 입니다.
    • left는 왼손잡이, right는 오른손잡이를 의미합니다.
  • 왼손 엄지손가락을 사용한 경우는 L, 오른손 엄지손가락을 사용한 경우는 R을 순서대로 이어붙여 문자열 형태로 return 해주세요.

입출력 예

numbers hand result
[1, 3, 4, 5, 8, 2, 1, 4, 5, 9, 5] "right" "LRLLLRLLRRL"
[7, 0, 8, 2, 8, 3, 1, 5, 7, 6, 2] "left" "LRLLRRLLLRR"
[1, 2, 3, 4, 5, 6, 7, 8, 9, 0] "right" "LLRLLRLLRL"

2. 어떻게 풀까?

  • 키패드와 현재 왼손, 오른손을 좌표로 생각하여 풀면 될 것 같다.
  • 1,4,7은 항상 왼손이고 3,6,9는 항상 오른손이다.
  • 2,5,8,0의 경우 해당 number의 좌표와 현재 왼손과 오른손 좌표의 거리를 계산하여 더 가까운 손으로 누르면 되겠다.
    • 거리가 같은 경우는 입력으로 주어진 hand를 이용한다.

3. 코드

for문과 if / else if문으로 계속 쓰다보니 바로 됐다. 그 후에 리팩토링을 어떻게 깔끔하게 할 수 있을까 많이 고민했다.

테스트코드

import static org.hamcrest.CoreMatchers.is;
import static org.junit.Assert.*;

import org.junit.Test;

public class SolutionTest {

  @Test
  public void test1() {
    int[] numbers = {1, 3, 4, 5, 8, 2, 1, 4, 5, 9, 5};
    assertThat(new Solution().solution(numbers,"right"), is("LRLLLRLLRRL"));
  }

  @Test
  public void test2() {
    int[] numbers = {7, 0, 8, 2, 8, 3, 1, 5, 7, 6, 2};
    assertThat(new Solution().solution(numbers,"left"), is("LRLLRRLLLRR"));
  }

  @Test
  public void test3() {
    int[] numbers = {1, 2, 3, 4, 5, 6, 7, 8, 9, 0};
    assertThat(new Solution().solution(numbers,"right"), is("LLRLLRLLRL"));
  }
}

실제코드

public class Solution2 {

  int[] leftPoint;
  int[] rightPoint;

  public String solution(int[] numbers, String hand) {
    StringBuilder result = new StringBuilder();
    leftPoint = new int[]{3, 0};
    rightPoint = new int[]{3, 2};
    hand = hand.equals("right") ? "R" : "L";

    for (int number : numbers) {
      touch(result, number, hand);
    }
    return result.toString();
  }

  private void touch(StringBuilder result, int number, String hand) {

    if (number == 1 || number == 4 || number == 7) {
      result.append("L");
      leftPoint = getPoint(number);
    } else if (number == 3 || number == 6 || number == 9) {
      result.append("R");
      rightPoint = getPoint(number);
    } else if (number == 2 || number == 5 || number == 8 || number == 0) {
      String finger = getCloseFinger(number, leftPoint, rightPoint, hand);
      result.append(finger);
      if (finger.equals("R")) {
        rightPoint = getPoint(number);
      } else {
        leftPoint = getPoint(number);
      }
    }
  }

  private String getCloseFinger(int number, int[] leftPoint, int[] rightPoint, String hand) {
    int[] padPoint = getPoint(number);

    int toLeftFingerDistance =
        Math.abs(leftPoint[0] - padPoint[0]) + Math.abs(leftPoint[1] - padPoint[1]);
    int toRightFingerDistance =
        Math.abs(rightPoint[0] - padPoint[0]) + Math.abs(rightPoint[1] - padPoint[1]);

    return toLeftFingerDistance == toRightFingerDistance ? hand
        : toLeftFingerDistance < toRightFingerDistance ? "R" : "L";
  }

  private int[] getPoint(int number) {
    if (number == 1) {
      return new int[]{0, 0};
    } else if (number == 2) {
      return new int[]{0, 1};
    } else if (number == 3) {
      return new int[]{0, 2};
    } else if (number == 4) {
      return new int[]{1, 0};
    } else if (number == 5) {
      return new int[]{1, 1};
    } else if (number == 6) {
      return new int[]{1, 2};
    } else if (number == 7) {
      return new int[]{2, 0};
    } else if (number == 8) {
      return new int[]{2, 1};
    } else if (number == 9) {
      return new int[]{2, 2};
    }
    return new int[]{3, 1};
  }
}

반복문을 돌면서 touch() 메서드로 result를 계속 붙여나갔다.

touch() 메서드에서는

  • number가 1, 4, 7일 경우 result에 "L"을 붙이고 현재 왼손 좌표인 leftPointnumber에 해당하는 좌표로 수정.
  • 마찬가지로 3, 6, 9일 경우 result에 "R"을 붙이고 rightPointnumber에 해당하는 좌표로 수정한다.
  • number가 2, 5, 8, 0일 경우 getCloseFinger() 메서드를 통해 "L" 또는 "R"을 result에 붙여주고 리턴 값에 따라 leftPoint or rightPointnumber에 해당하는 좌표로 수정한다.
  • 좌표를 수정은 getPoint()메서드에서 한다.

getCloseFinger() 메서드에서는 number에 해당하는 좌표와 현재 왼손위치(leftPoint), 오른손위치(rightPoint)중 더 가까운 손을 반환 한다.("R" 또는 "L") 만약 거리가 같다면 입력으로 받은 hand에 따라 결정한다.


4. 느낀점

  • 문제 자체는 쉬웠다. 그냥 반복문과 조건문으로 간단하게 풀 수 있었다.
  • 그런데, 조건문을 사용하면서 중복되는 코드가 매우 많아져서 코드를 읽기도 어렵고 상당히 복잡했다.
  • 그래서 문제를 푸는것 보다 리팩토링하는데 더 고민을 한 문제였다.
  • 이 문제 2020 카카오 인턴십때 나온 문제인데 그 당시에는 못풀었다. 이유가 문제만 보고 아 어렵겠다 하고 넘겨서 못풀었는데, 지금 보니까 너무 쉬운문제이다. ㅜㅜ 아쉽

1. 문제

www.codewars.com/kata/56a32dd6e4f4748cc3000006

 

Codewars: Achieve mastery through challenge

Codewars is where developers achieve code mastery through challenge. Train on kata in the dojo and reach your highest potential.

www.codewars.com

문제 설명

data and data1 are two strings with rainfall records of a few cities for months from January to December. The records of towns are separated by\n. The name of each town is followed by:

data and towns can be seen in "Your Test Cases:".

Task:

  • function:mean(town, strng)should return the average of rainfall for the citytown and the strng data ordata1(In R and Julia this function is calledavg).
  • function:variance(town, strng) should return the variance of rainfall for the city town and the strng data or data1.

제한 사항

  • if functions mean or variance have as parameter town a city which has no records return -1 or -1.0 (depending on the language)

  • Don't truncate or round: the tests will pass if abs(your\_result - test\_result) <= 1e-2 or abs((your\_result - test\_result) / test\_result) <= 1e-6 depending on the language.

  • Shell tests only variance

  • A ref:http://www.mathsisfun.com/data/standard-deviation.html

  • data and data1(can be name d0 and d1 depending on the language; see "Sample Tests:") are adapted from:http://www.worldclimate.com

입출력 예

mean("London", data), 51.19(9999999999996)

variance("London", data), 57.42(833333333374)


2. 어떻게 풀까?

  • 우선 data\n으로 도시들이 구분되어 있고, 도시와 월별 rainfall은 :로 구분되어있다고 하니 data를 통해 각 도시와 rainfall을 split 하는 게 중요해 보인다.
  • 그 이후에는 각 rainfall들을 더해서 12로 나누어 평균값(mean)을 구하고, mean을 이용해서 variance도 구하면 되겠다.
  • mean은 평균값인게 이해가 갔는데 variance는 뭔지 몰랐다. 근데 참고 링크를 보니까 딱 알겠더라.
  • 제한 사항을 보니 입력의 towndata or data1에 존재하지 않으면 -1을 리턴하라고 한다.
    • 처음에는 입력으로 주어진 town에 대한 결과값만 리턴하면 되겠다. 생각했는데, 이 제한사항 때문에 Map을 이용해야겠다고 생각했다.

3. 코드

테스트 코드

package codeWars.kyu6.rainFall_20201117;

import static org.hamcrest.CoreMatchers.is;
import static org.junit.Assert.*;

import org.junit.Test;

public class RainfallTest {

  public static String data =
      "Rome:Jan 81.2,Feb 63.2,Mar 70.3,Apr 55.7,May 53.0,Jun 36.4,Jul 17.5,Aug 27.5,Sep 60.9,Oct 117.7,Nov 111.0,Dec 97.9"
          +
          "\n" +
          "London:Jan 48.0,Feb 38.9,Mar 39.9,Apr 42.2,May 47.3,Jun 52.1,Jul 59.5,Aug 57.2,Sep 55.4,Oct 62.0,Nov 59.0,Dec 52.9"
          +
          "\n" +
          "Paris:Jan 182.3,Feb 120.6,Mar 158.1,Apr 204.9,May 323.1,Jun 300.5,Jul 236.8,Aug 192.9,Sep 66.3,Oct 63.3,Nov 83.2,Dec 154.7"
          +
          "\n" +
          "NY:Jan 108.7,Feb 101.8,Mar 131.9,Apr 93.5,May 98.8,Jun 93.6,Jul 102.2,Aug 131.8,Sep 92.0,Oct 82.3,Nov 107.8,Dec 94.2"
          +
          "\n" +
          "Vancouver:Jan 145.7,Feb 121.4,Mar 102.3,Apr 69.2,May 55.8,Jun 47.1,Jul 31.3,Aug 37.0,Sep 59.6,Oct 116.3,Nov 154.6,Dec 171.5"
          +
          "\n" +
          "Sydney:Jan 103.4,Feb 111.0,Mar 131.3,Apr 129.7,May 123.0,Jun 129.2,Jul 102.8,Aug 80.3,Sep 69.3,Oct 82.6,Nov 81.4,Dec 78.2"
          +
          "\n" +
          "Bangkok:Jan 10.6,Feb 28.2,Mar 30.7,Apr 71.8,May 189.4,Jun 151.7,Jul 158.2,Aug 187.0,Sep 319.9,Oct 230.8,Nov 57.3,Dec 9.4"
          +
          "\n" +
          "Tokyo:Jan 49.9,Feb 71.5,Mar 106.4,Apr 129.2,May 144.0,Jun 176.0,Jul 135.6,Aug 148.5,Sep 216.4,Oct 194.1,Nov 95.6,Dec 54.4"
          +
          "\n" +
          "Beijing:Jan 3.9,Feb 4.7,Mar 8.2,Apr 18.4,May 33.0,Jun 78.1,Jul 224.3,Aug 170.0,Sep 58.4,Oct 18.0,Nov 9.3,Dec 2.7"
          +
          "\n" +
          "Lima:Jan 1.2,Feb 0.9,Mar 0.7,Apr 0.4,May 0.6,Jun 1.8,Jul 4.4,Aug 3.1,Sep 3.3,Oct 1.7,Nov 0.5,Dec 0.7";

  public static String data1 =
      "Rome:Jan 90.2,Feb 73.2,Mar 80.3,Apr 55.7,May 53.0,Jun 36.4,Jul 17.5,Aug 27.5,Sep 60.9,Oct 147.7,Nov 121.0,Dec 97.9"
          +
          "\n" +
          "London:Jan 58.0,Feb 38.9,Mar 49.9,Apr 42.2,May 67.3,Jun 52.1,Jul 59.5,Aug 77.2,Sep 55.4,Oct 62.0,Nov 69.0,Dec 52.9"
          +
          "\n" +
          "Paris:Jan 182.3,Feb 120.6,Mar 188.1,Apr 204.9,May 323.1,Jun 350.5,Jul 336.8,Aug 192.9,Sep 66.3,Oct 63.3,Nov 83.2,Dec 154.7"
          +
          "\n" +
          "NY:Jan 128.7,Feb 121.8,Mar 151.9,Apr 93.5,May 98.8,Jun 93.6,Jul 142.2,Aug 131.8,Sep 92.0,Oct 82.3,Nov 107.8,Dec 94.2"
          +
          "\n" +
          "Vancouver:Jan 155.7,Feb 121.4,Mar 132.3,Apr 69.2,May 85.8,Jun 47.1,Jul 31.3,Aug 37.0,Sep 69.6,Oct 116.3,Nov 154.6,Dec 171.5"
          +
          "\n" +
          "Sydney:Jan 123.4,Feb 111.0,Mar 151.3,Apr 129.7,May 123.0,Jun 159.2,Jul 102.8,Aug 90.3,Sep 69.3,Oct 82.6,Nov 81.4,Dec 78.2"
          +
          "\n" +
          "Bangkok:Jan 20.6,Feb 28.2,Mar 40.7,Apr 81.8,May 189.4,Jun 151.7,Jul 198.2,Aug 197.0,Sep 319.9,Oct 230.8,Nov 57.3,Dec 9.4"
          +
          "\n" +
          "Tokyo:Jan 59.9,Feb 81.5,Mar 106.4,Apr 139.2,May 144.0,Jun 186.0,Jul 155.6,Aug 148.5,Sep 216.4,Oct 194.1,Nov 95.6,Dec 54.4"
          +
          "\n" +
          "Beijing:Jan 13.9,Feb 14.7,Mar 18.2,Apr 18.4,May 43.0,Jun 88.1,Jul 224.3,Aug 170.0,Sep 58.4,Oct 38.0,Nov 19.3,Dec 2.7"
          +
          "\n" +
          "Lima:Jan 11.2,Feb 10.9,Mar 10.7,Apr 10.4,May 10.6,Jun 11.8,Jul 14.4,Aug 13.1,Sep 23.3,Oct 1.7,Nov 0.5,Dec 10.7";

  @Test
  public void meanTest() {
    assertThat(Rainfall.mean("London", data), is(51.199999999999996));
    assertThat(Rainfall.mean("Beijing", data), is(52.416666666666664));
  }

  @Test
  public void varianceTest() {
    assertThat(Rainfall.variance("London", data), is(57.42833333333374));
    assertThat(Rainfall.variance("Beijing", data), is(4808.37138888889));
  }

  @Test
  public void whenDataHasNotTownTest() {
    assertThat(Rainfall.mean("Lon", data), is(-1.0));
    assertThat(Rainfall.variance("Lon", data), is(-1.0));
  }
}

실제 코드

package codeWars.kyu6.rainFall_20201117;

import java.util.HashMap;
import java.util.Map;

public class Rainfall {

  public static double mean(String town, String strng) {
    Map<String, Double> townRainfallMeanMap = buildTownRainfallMeanMap(strng);

    return townRainfallMeanMap.getOrDefault(town, -1.0);
  }

  private static Map<String, Double> buildTownRainfallMeanMap(String strng) {
    Map<String, Double> townRainfallMeanMap = new HashMap<>();
    String[] townAndMonthRainfalls = strng.split("\n");

    for (String townAndMonthRainfall : townAndMonthRainfalls) {
      String targetTown = townAndMonthRainfall.split(":")[0];
      String[] monthRainfalls = townAndMonthRainfall.split(":")[1].split(",");
      double sumOfRecords = 0;

      for (String monthRainfall : monthRainfalls) {
        sumOfRecords += Double.parseDouble(monthRainfall.split(" ")[1]);
      }
      townRainfallMeanMap.put(targetTown, sumOfRecords / 12);
    }

    return townRainfallMeanMap;
  }

  public static double variance(String town, String strng) {
    Map<String, Double> townRainfallVarianceMap = buildTownRainfallVarianceMap(town, strng);

    return townRainfallVarianceMap.getOrDefault(town, -1.0);
  }

  private static Map<String, Double> buildTownRainfallVarianceMap(String town, String strng) {
    Map<String, Double> townRainfallVarianceMap = new HashMap<>();
    double mean = mean(town, strng);
    String[] townAndMonthRainfalls = strng.split("\n");

    for (String townAndMonthRainfall : townAndMonthRainfalls) {
      String targetTown = townAndMonthRainfall.split(":")[0];
      String[] monthRainfalls = townAndMonthRainfall.split(":")[1].split(",");
      double sumOfRecords = 0;

      for (String monthRainfall : monthRainfalls) {
        double rainfall = Double.parseDouble(monthRainfall.split(" ")[1]);
        sumOfRecords += Math.pow((rainfall - mean), 2);
      }
      townRainfallVarianceMap.put(targetTown, sumOfRecords / 12);
    }

    return townRainfallVarianceMap;
  }
}

mean()variance() 둘 다 비슷하게 구현했다. data로 주어진 strng\n으로 쪼개 town별로 분리하고, 분리한 town String 배열에서 :으로 쪼개 도시와 월별 rainfall로 분리했다. 그리고 rainfall끼리 전부 더해서 12로 나누어준 값을 map에 저장했다. varinace()에서는 mean()을 이용하여 variance를 구했다.


4. 느낀점

  • 어렵지 않은 문제였다. String을 어떻게 잘 쪼개냐가 관건인 것 같다.

1. 문제

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7682

 

코딩테스트 연습 - [1차] 다트 게임

 

programmers.co.kr

문제 설명

카카오톡 게임별의 하반기 신규 서비스로 다트 게임을 출시하기로 했다. 다트 게임은 다트판에 다트를 세 차례 던져 그 점수의 합계로 실력을 겨루는 게임으로, 모두가 간단히 즐길 수 있다.
갓 입사한 무지는 코딩 실력을 인정받아 게임의 핵심 부분인 점수 계산 로직을 맡게 되었다. 다트 게임의 점수 계산 로직은 아래와 같다.

  1. 다트 게임은 총 3번의 기회로 구성된다.
  2. 각 기회마다 얻을 수 있는 점수는 0점에서 10점까지이다.
  3. 점수와 함께 Single(S), Double(D), Triple(T) 영역이 존재하고 각 영역 당첨 시 점수에서 1제곱, 2제곱, 3제곱으로 계산된다.
  4. 옵션으로 스타상(*) , 아차상(#)이 존재하며 스타상(*) 당첨 시 해당 점수와 바로 전에 얻은 점수를 각 2배로 만든다. 아차상(#) 당첨 시 해당 점수는 마이너스된다.
  5. 스타상(*)은 첫 번째 기회에서도 나올 수 있다. 이 경우 첫 번째 스타상(*)의 점수만 2배가 된다. (예제 4번 참고)
  6. 스타상(*)의 효과는 다른 스타상(*)의 효과와 중첩될 수 있다. 이 경우 중첩된 스타상(*) 점수는 4배가 된다. (예제 4번 참고)
  7. 스타상(*)의 효과는 아차상(#)의 효과와 중첩될 수 있다. 이 경우 중첩된 아차상(#)의 점수는 -2배가 된다. (예제 5번 참고)
  8. Single(S), Double(D), Triple(T)은 점수마다 하나씩 존재한다.
  9. 스타상(*), 아차상(#)은 점수마다 둘 중 하나만 존재할 수 있으며,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0~10의 정수와 문자 S, D, T, *, #로 구성된 문자열이 입력될 시 총점수를 반환하는 함수를 작성하라.

제한 사항

입력 형식

점수|보너스|[옵션]으로 이루어진 문자열 3세트.
예)1S2D*3T

  • 점수는 0에서 10 사이의 정수이다.
  • 보너스는 S, D, T 중 하나이다.
  • 옵선은 *이나 # 중 하나이며, 없을 수도 있다.

출력 형식

3번의 기회에서 얻은 점수 합계에 해당하는 정수값을 출력한다.
예) 37

입출력 예

예제 dartResult answer 설명
1 1S2D*3T 37 (1^1 * 2) + (2^2 * 2) + (3^3)
2 1D2S#10S 9 (1^2) + (2^1 * -1) + (10^1)
3 1D2S0T 3 (1^2) + (2^1) + (0^3)
4 1S*2T*3S 23 (1^2 * -1 * 2) + (2^1 * 2) + (3^1)
5 1D#2S*3S 5 (1^2 * -1 * 2) + (2^1* 2) + (3^1)
6 1T2D3D# -4 (1^3) + (2^2) + (3^2 * -1)
7 1D2S3T* 59 (1^2) + (2^1 * 2) + (3^3 * 2)

2. 어떻게 풀까?

  • 문제에서 다트는 총 3번 던지니까 String의 split()메서드를 이용해서 점수와 보너스,옵션을 분리할 수 있을 것이다.
    • 근데 분리할 때, empty string ("")이 생길 수 있으니 유의해야할듯.
  • 그래서 보너스 문자에 따라 점수에 2제곱, 3제곱, *2, *-1 등을 해주어 배열에 저장하고 다 더해주면 되겠다.
  • 문자열을 반복문 돌며 계산해줘도 될거라 생각했는데 10점이 변수가되기 때문에 그냥 분리하는게 낫겠다.

3. 코드

TDD 연습을 위해 1번 테스트 👉 실제 코드 작성 👉 리팩토링 👉 다음 테스트 👉 실제 코드 작성 👉 리팩토링 ... 순서로 계속 살을 붙여나갔다.

테스트 코드

import static org.hamcrest.CoreMatchers.is;
import static org.junit.Assert.*;

import org.junit.Test;

public class SolutionTest {

  @Test
  public void test1() {
    assertThat(new Solution().solution("1S2D*3T"), is(37));
  }

  @Test
  public void test2() {
    assertThat(new Solution().solution("102S#10S"), is(9));
  }

  @Test
  public void test3() {
    assertThat(new Solution().solution("1D2S0T"), is(3));
  }

  @Test
  public void test4() {
    assertThat(new Solution().solution("1S*2T*3S"), is(23));
  }

  @Test
  public void test5() {
    assertThat(new Solution().solution("1D#2S*3S"), is(5));
  }

  @Test
  public void test6() {
    assertThat(new Solution().solution("1T2D3D#"), is(-4));
  }

  @Test
  public void test7() {
    assertThat(new Solution().solution("1D2S3T*"), is(59));
  }
}

실제 코드

import java.util.Arrays;

public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String dartResult) {
    int[] scores = getScores(dartResult);
    String[] bonus = getBonus(dartResult);

    return getSumOfScore(scores, bonus);
  }

  private int getSumOfScore(int[] scores, String[] bonus) {
    int[] result = new int[3];

    for (int i = 0; i < bonus.length; i++) {
      int score = scores[i];
      if (bonus[i].contains("T")) {
        score = (int) Math.pow(score, 3);
      } else if (bonus[i].contains("D")) {
        score = (int) Math.pow(score, 2);
      }
      if (bonus[i].contains("*")) {
        score *= 2;
        if (i != 0) {
          result[i - 1] *= 2;
        }
      } else if (bonus[i].contains("#")) {
        score *= -1;
      }
      result[i] = score;
    }
    return Arrays.stream(result).sum();
  }

  private String[] getBonus(String dartResult) {
    String[] bonus = new String[3];
    String[] bonusSplit = dartResult.split("\\d");
    int index = 0;
    for (int i = 0; i < bonusSplit.length; i++) {
      if (!bonusSplit[i].equals("")) {
        bonus[index++] = bonusSplit[i];
      }
    }
    return bonus;
  }

  private int[] getScores(String dartResult) {
    int[] scores = new int[3];
    String[] scoresSplit = dartResult.split("[SDT*#]");
    int index = 0;
    for (String score : scoresSplit) {
      if (!score.equals("")) {
        scores[index++] = Integer.parseInt(score);
      }
    }
    return scores;
  }
}
  • getBonus()getScores()에서 emptyString("")을 제외하고 점수, 보너스를 각 배열에 담았다.
  • 그 배열들을 이용해서 getSumOfScore()메서드를 통해 총 점수를 계산하고 리턴했다.

4. 느낀점

  • 카카오 코테 문제가 비교적 어렵다고해도 level1 수준의 문제는 간단하게 풀 수 있다. 시간도 약 20~30분정도? 더 줄이면 좋겠지만, level1을 다 풀 수 있는걸로 만족은 한다.
  • level2 이상은 좀 많이 어렵긴한데 적어도 level1 수준의 문제는 확실히 다 풀 수 있도록 해야겠다.

1. 문제

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7681

 

코딩테스트 연습 - [1차] 비밀지도

비밀지도 네오는 평소 프로도가 비상금을 숨겨놓는 장소를 알려줄 비밀지도를 손에 넣었다. 그런데 이 비밀지도는 숫자로 암호화되어 있어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암호를 해독해야 한다. 다

programmers.co.kr

문제 설명

네오는 평소 프로도가 비상금을 숨겨놓는 장소를 알려줄 비밀지도를 손에 넣었다. 그런데 이 비밀지도는 숫자로 암호화되어 있어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암호를 해독해야 한다. 다행히 지도 암호를 해독할 방법을 적어놓은 메모도 함께 발견했다.

  1. 지도는 한 변의 길이가n인 정사각형 배열 형태로, 각 칸은공백(" ") 또는 벽("#") 두 종류로 이루어져 있다.
  2. 전체 지도는 두 장의 지도를 겹쳐서 얻을 수 있다. 각각지도 1과지도 2라고 하자. 지도 1 또는 지도 2 중 어느 하나라도 벽인 부분은 전체 지도에서도 벽이다. 지도 1과 지도 2에서 모두 공백인 부분은 전체 지도에서도 공백이다.
  3. 지도 1과지도 2는 각각 정수 배열로 암호화되어 있다.
  4. 암호화된 배열은 지도의 각 가로줄에서 벽 부분을1, 공백 부분을0으로 부호화했을 때 얻어지는 이진수에 해당하는 값의 배열이다.

네오가 프로도의 비상금을 손에 넣을 수 있도록, 비밀지도의 암호를 해독하는 작업을 도와줄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제한 사항

입력 형식

입력으로 지도의 한 변 크기 n 과 2개의 정수 배열arr1,arr2가 들어온다.

  • 1 ≦n≦ 16

  • arr1,arr2는 길이n인 정수 배열로 주어진다.

  • 정수 배열의 각 원소 x를 이진수로 변환했을 때의 길이는n이하이다. 즉, 0 ≦x≦ 2n- 1을 만족한다.

출력 형식

원래의 비밀지도를 해독하여'#',공백(" ")으로 구성된 문자열 배열로 출력하라.

입출력 예

매개 변수
n 5
arr1 [9, 20, 28, 18, 11]
arr2 [30, 1, 21, 17, 28]
출력 ["#####", "# # #", "### #", "#  ##", "#####"]

2. 어떻게 풀까?

  • 입력으로 int 배열을 주니까 배열 element를 binary로 만들어서 두 binary를 다시 Integer나 Long으로 만들어서 합치고, 각 bit가 1 혹은 2면 "#"으로 치환, 0이면 공백(" ")으로 치환하면 되겠다.
    • 예를 들면, 9는 1001이고, 30은 11110이니까 합치면 12111이고 치환하면 "#####"이 된다.
  • 그런데 입력 조건에서 bit 길이가 1~16인데 길이가 16인 binary는 Integer나 Long으로 만들 수 없으니 두 binary를 합치는 것은 불가능한 것 같다.
    • 100101010101101 + 10101001010101000101의 길이는 Integer, Long으로 표현할 수 없음
  • 그러면 binary를 Integer나 Long으로 만들어서 더하지 말고, 그냥 각 binary의 bit끼리 더해서 0이 아니면 "#", 0이면 공백(" ")으로 치환하자.
  • 각 binary가 자릿수가 다를 수 있다.
    • 입력 n값이 6이어도, int 배열의 element가 9, 1, 14면 1001, 1, 1110인데 길이가 6이 아니기 때문에 앞에 0을 붙여줘야 한다.

3. 코드

실제 코드만 첨부

실제 코드

public class Solution {

  public String[] solution(int n, int[] arr1, int[] arr2) {
    String[] result = new String[n];
    for (int i = 0; i < result.length; i++) {
      String[] digits = new String[n];
      String temp1 = getBinaryString(n, arr1[i]);
      String temp2 = getBinaryString(n, arr2[i]);
      for (int j = 0; j < digits.length; j++) {
        digits[j] = "" + (Character.getNumericValue(temp1.charAt(j))
            + Character.getNumericValue(temp2.charAt(j)));
      }
      result[i] = String.join("", digits).replaceAll("[1-9]", "#").replaceAll("0", " ");
    }
    return result;
  }

  private String getBinaryString(int length, int number) {
    StringBuilder binary = new StringBuilder(Integer.toBinaryString(number));
    while (binary.length() < length) {
      binary.insert(0, "0");
    }
    return binary.toString();
  }

}

toBinaryString()을 이용해서 binary로 바꾼 후 자릿수를 맞춰주는 작업을 하기 위해 getBinaryString() 메서드를 만들었고, 두 bit를 합쳐서 0이면 공백(" "), 0이 아니면 "#"으로 치환했다.


4. 느낀 점

  • 문제를 풀고 나니까 코드가 많이 더럽다. temp1, temp2 뭐 이상한 변수명을 사용한 것도 그렇고, 위 방법 말고 더 간단한 방법이 분명히 있는데, 그냥 "문제 풀었다!"라는 생각에 바로 제출했다.
  • 생각해보면 굳이 합치지 않고, 각 bianry의 bit가 모두 0이면 공백, 0이 아니면 "#"으로 만들어줘도 됐을 텐데
  • 다른 풀이를 보니까 각 int 배열의 element를 or연산('|')을 이용했다. 이 방법이 훨씬 가독성이 좋은 것 같다. (코드는 따로 안 올림.. 나중에 다시 풀어보기 위해)

1. 문제

https://www.codewars.com/kata/557f6437bf8dcdd135000010

 

Codewars: Achieve mastery through challenge

Codewars is where developers achieve code mastery through challenge. Train on kata in the dojo and reach your highest potential.

www.codewars.com

 

문제 설명

n mathematics, the factorial of integer n is written as n!. It is equal to the product of n and every integer preceding it. For example: 5! = 1 x 2 x 3 x 4 x 5 = 120

Your mission is simple: write a function that takes an integer n and returns the value of n!.

You are guaranteed an integer argument. For any values outside the non-negative range, return null, nil or None (return an empty string "" in C and C++). For non-negative numbers a full length number is expected for example, return 25! = "15511210043330985984000000" as a string.

For more on factorials, see http://en.wikipedia.org/wiki/Factorial

NOTES:

  • The use of BigInteger or BigNumber functions has been disabled, this requires a complex solution

  • I have removed the use of require in the javascript language.

입출력 예

1! 👉 "1"

5! 👉 "120"

9! 👉 "362880"

15! 👉 "1307674368000"

25! 👉 "15511210043330985984000000"

 


2. 어떻게 풀까?

 

간단하게 팩토리얼 구하는 함수를 구현해라는 문제인데, NOTE를 보면 BigInteger나 BigNumber를 쓰지 말라고 한다. 이러면 방법을 잘 모르겠다. 처음에는 bit별로 나누어서 list에 저장하고 bit끼리 더하면 되겠다 생각했는데 생각처럼 잘 되지 않았다. 그래서 결국 답을 봤다.

근데 답보니까 다 BigInteger를 썼는데 ㅋㅋ.. 그중에 안쓴 답이 있어서 며칠 동안 다시 풀면서 직접 코드를 짜 봤다.

 


3. 코드

 

답을 보고 내가 리팩터링 한 코드

 

테스트 코드

package doNotSolve.codewars.kyu4.largeFactorials_20201029;

import static org.hamcrest.CoreMatchers.is;
import static org.junit.Assert.*;

import org.junit.Test;

public class KataTest {

  @Test
  public void test1() {
    assertThat(Kata.factorial(1), is("1"));
  }

  @Test
  public void test2() {
    assertThat(Kata.factorial(2), is("2"));
  }

  @Test
  public void test3() {
    assertThat(Kata.factorial(5), is("120"));
  }

  @Test
  public void test4() {
    assertThat(Kata.factorial(15), is("1307674368000"));
  }

  @Test
  public void test5() {
    assertThat(Kata.factorial(25), is("15511210043330985984000000"));
  }
}

 

실제 코드

package doNotSolve.codewars.kyu4.largeFactorials_20201029;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List;
import java.util.stream.Collectors;

public class KataAgain {

  static int carry;

  public static String factorials(int n) {
    List<Integer> digits = new ArrayList<>();
    int value = n;
    saveDigits(digits, value);

    for (value = n - 1; value > 1; value--) {
      List<Integer> targetDigits = new ArrayList<>();
      carry = 0;
      saveDigits(digits, targetDigits, value);

      saveDigits(targetDigits, carry);
      digits = targetDigits;
    }

    return getResultString(digits);
  }

  private static void saveDigits(List<Integer> digits, List<Integer> targetDigits, int value) {
    for (Integer digit : digits) {
      int product = value * digit + carry;
      targetDigits.add(product % 10);
      carry = product / 10;
    }
  }

  private static void saveDigits(List<Integer> digits, int value) {
    if (value == 0) {
      return;
    }
    while (value > 0) {
      digits.add(value % 10);
      value /= 10;
    }
  }

  private static String getResultString(List<Integer> digits) {
    String reversedDigits = digits.stream().map(String::valueOf).collect(Collectors.joining());
    return new StringBuilder(reversedDigits).reverse().toString();
  }
}

4. 느낀 점

memoization 방법으로 팩토리얼을 구현하면 타입을 long으로 해도 20! 에서 오버플로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큰 값의 팩토리얼을 구하려면 BigInteger을 사용해왔는데 새로운 방법을 알게 되었다. 팩토리얼 외에도 피보나치수열도 이 방법으로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들었다.

1. 문제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67257

 

코딩테스트 연습 - 수식 최대화

IT 벤처 회사를 운영하고 있는 라이언은 매년 사내 해커톤 대회를 개최하여 우승자에게 상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이번 대회에서는 우승자에게 지급되는 상금을 이전 대회와는 다르게 다음과

programmers.co.kr

문제 설명

IT 벤처 회사를 운영하고 있는 라이언은 매년 사내 해커톤 대회를 개최하여 우승자에게 상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이번 대회에서는 우승자에게 지급되는 상금을 이전 대회와는 다르게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결정하려고 합니다. 해커톤 대회에 참가하는 모든 참가자들에게는 숫자들과 3가지의 연산 문자 (+, -, *) 만으로 이루어진 연산 수식이 전달되며, 참가자의 미션은 전달받은 수식에 포함된 연산자의 우선순위를 자유롭게 재정의하여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숫자를 제출하는 것입니다. 단, 연산자의 우선순위를 새로 정의할 때, 같은 순위의 연산자는 없어야 합니다. 즉, + > - > * 또는 - > * > + 등과 같이 연산자 우선순위를 정의할 수 있으나 +,* > - 또는 * > +,-처럼 2개 이상의 연산자가 동일한 순위를 가지도록 연산자 우선순위를 정의할 수는 없습니다. 수식에 포함된 연산자가 2개라면 정의할 수 있는 연산자 우선순위 조합은 2! = 2가지이며, 연산자가 3개라면 3! = 6가지 조합이 가능합니다. 만약 계산된 결과가 음수라면 해당 숫자의 절댓값으로 변환하여 제출하며 제출한 숫자가 가장 큰 참가자를 우승자로 선정하며, 우승자가 제출한 숫자를 우승상금으로 지급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참가자 중 네오가 아래와 같은 수식을 전달받았다고 가정합니다.

"100-200*300-500+20"

일반적으로 수학 및 전산학에서 약속된 연산자 우선순위에 따르면 더하기와 빼기는 서로 동등하며 곱하기는 더하기, 빼기에 비해 우선순위가 높아 * > +,- 로 우선순위가 정의되어 있습니다. 대회 규칙에 따라 + > - > * 또는 - > * > + 등과 같이 연산자 우선순위를 정의할 수 있으나 +,* > - 또는 * > +,-+,-처럼 2개 이상의 연산자가 동일한 순위를 가지도록 연산자 우선순위를 정의할 수는 없습니다. 수식에 연산자가 3개 주어졌으므로 가능한 연산자 우선순위 조합은 3! = 6가지이며, 그중+ > - > * 로 연산자 우선순위를 정한다면 결괏값은 22,000원이 됩니다. 반면에 * > + > - 로 연산자 우선순위를 정한다면 수식의 결괏값은 -60,420이지만, 규칙에 따라 우승 시 상금은 절댓값인 60,420원이 됩니다.

 

참가자에게 주어진 연산 수식이 담긴 문자열 expression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우승 시 받을 수 있는 가장 큰 상금 금액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 사항

  • expression은 길이가 3이상 100 이하인 문자열이다.
  • expression은 공백문자, 괄호 문자 없이 오로지 숫자와 3가지의 연산자(+, -, *)만으로 이루어진 올바른 중위 표기법으로 표현된 연산식이다. 잘못된 연산식은 주어지지 않는다.
    • 즉, 402+-561* 같은 식은 주어지지 않는다.
    • -56+100 처럼 피연산자가 음수인 수식도 입력으로 주어지지 않는다.
  • expression은 적어도 1개 이상의 연산자를 포함한다.
  • 연산자 우선순위를 어떻게 적용하더라도, expression의 중간 계산 값과 최종 결괏값은 절댓값이 2^63 - 1 이하가 되도록 입력이 주어진다.
  • 같은 연산자끼리는 앞에 있는 것의 우선순위가 더 높다.

입출력 예

1. 100-200*300-500+20 👉 * > + > - 순으로 연산자 우선순위를 정했을 때
100-(200*300)-500+20
100-60000-(500+20)
(100-60000)-520
(-59900-520)
-60420
절댓값 60420이 가장 큰 값이다.

 

2. 50*6-3*2 👉 - > * 순으로 연산자 우선순위를 정했을 때
50*(6-3)*2
(50*3)*2
150*2
300
절댓값 300이 가장 큰 값이다.


2. 어떻게 풀까?

  • 우선 사용되는 연산자의 종류는 최소 1개 최대 3개이다. 그러면, 연산자를 1개 사용했을 때는 우선순위 경우가 한 가지뿐이고, 2개를 사용했을 때는 우선 순위 경우가 두 가지, 3개를 사용했을 때는 6가지가 나온다.
  • 일단 우선순위 list나 array를 만들어 저장한뒤 우선순위 경우에 따라 주어진 expression을 계산하고 최댓값을 찾는 방법으로 풀면 될 것 같다.
  • 우선순위 list를 만드는 거는 순열을 이용하면 금방 만들 것 같아서 바로 해결, 계산하는 과정은 고민을 좀 많이 했다. 처음에는 정규식을 이용해서 replaceAll() 메서드로 할 수 있을까? 생각해서 접근해봤는데 안돼서 포기
  • 그럼 다른 방법이 있나??? 음.. expression을 연산자와 숫자로 구분해서 list를 만든 다음에 연산자에 해당하는 숫자들을 계산하면 될 것 같다. 연산자가 현재 우선순위에 일치하면 계산을 하고 list에서 빼준다. 숫자는 계산한 값을 해당 index에 삽입하면 될 것 같다.

3. 코드

 

TDD 연습을 위해 간단한 테스트 코드를 먼저 작성하고, 테스트 통과를 위한 코드를 작성 👉 다른 테스트 작성, 테스트 통과하도록 수정하는 과정을 반복했다.

 

테스트코드

package programmers.level2.수식최대화_20201030;

import static org.hamcrest.CoreMatchers.is;
import static org.junit.Assert.*;

import org.junit.Test;

public class SolutionTest {

  @Test
  public void testWhenOnlyOneOperation() {
    assertThat(new Solution().solution("50*6*3*2"), is(1800L));
  }

  @Test
  public void testWhenTwoOperations() {
    assertThat(new Solution().solution("50*6-3*2"), is(300L));
  }

  @Test
  public void testWhenThreeOperations() {
    assertThat(new Solution().solution("100-200*300-500+20"), is(60420L));
  }
}

 

 

실제 코드

package programmers.level2.수식최대화_20201030;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java.util.HashSet;
import java.util.List;
import java.util.Set;
import java.util.stream.Collectors;

public class Solution {

  Set<String> operationPrioritySet;
  boolean[] visit;

  public long solution(String expression) {
    makeOperatorPriority(expression);

    long result = 0;
    for (String operationPriority : operationPrioritySet) {
      result = Math.max(result, calculateByPriority(expression, operationPriority));
    }
    return result;
  }

  private void makeOperatorPriority(String expression) {
    String distinctOperator = Arrays.stream(
        expression.replaceAll("[\\d]", "").split(""))
        .distinct()
        .collect(Collectors.joining());
    visit = new boolean[distinctOperator.length()];
    operationPrioritySet = new HashSet<>();
    permutation("", distinctOperator);
  }

  private long calculateByPriority(String expression, String operatorPriority) {

    List<Long> numbers = makeNumbers(expression);
    List<String> operators = makeOperators(expression);
    operators.remove(0);

    for (int i = 0; i < operatorPriority.length(); i++) {
      String targetPriorityOperator = operatorPriority.charAt(i) + "";
      while (operators.contains(targetPriorityOperator)) {
        int index = operators.indexOf(targetPriorityOperator);
        calculate(numbers, index, targetPriorityOperator);
        operators.remove(index);
      }
    }

    return Math.abs(numbers.get(0));
  }

  private void calculate(List<Long> numbers, int index, String operator) {
    if (operator.equals("*")) {
      numbers.add(index, numbers.remove(index) * numbers.remove(index));
    } else if (operator.equals("+")) {
      numbers.add(index, numbers.remove(index) + numbers.remove(index));
    } else {
      numbers.add(index, numbers.remove(index) - numbers.remove(index));
    }
  }

  private List<String> makeOperators(String expression) {
    return new ArrayList<>(Arrays.asList(expression.split("\\d{1,3}")));
  }

  private List<Long> makeNumbers(String expression) {
    return new ArrayList<>(Arrays.asList(
        Arrays.stream(expression.split("\\D"))
            .mapToLong(Long::parseLong)
            .boxed()
            .toArray(Long[]::new)));
  }

  private void permutation(String current, String operations) {
    if (current.length() == operations.length()) {
      operationPrioritySet.add(current);
      return;
    }

    for (int i = 0; i < operations.length(); i++) {
      if (!visit[i]) {
        visit[i] = true;
        permutation(current + operations.charAt(i), operations);
        visit[i] = false;
      }
    }
  }
}

4. 느낀 점

 

이 문제를 풀기 전에 정규 식중 전방 일치 관련 글을 봐서 정규식을 이용해서 풀면 풀 수 있지 않을까? 고민을 좀 오래 했었다. 여러 시도를 해봤는데 잘 안돼서 접고 list에 숫자, 연산자를 담아서 계산하는 방법으로 바꿨다. 판단을 빠르게 하는 게 중요한 듯

 

카카오 인턴 지원했을 때 이 문제를 풀었는데, 통과를 못했다. 몇 개는 통과하고 몇개는 실패해서.. 그때 내가 어떻게 풀었는지 기억이 잘 안 나는데, 어쨌든 이번엔 다 통과해서 기분이 좋다.

 

그때 어떻게 풀었는지 기록해뒀으면 비교 잘했을 텐데 그건 좀 아쉽다.

 

Level 2인데 이런 문제라니.. 카카오 x발..

+ Recent posts